세금(10)
-
1세대1주택 양도소득세 비과세
1세대1주택 양도소득세 비과세거주자인 1세대 양도일 현재 1주택을 소유하고 있고, 비과세요건을 만족한 주택을 양도하는경우▶양도가액 12억 원 이하 : 비과세 ▶양도가액 12억 원 초과 : 12억 원 초과분에 대하여 양도소득세 과세 1세대 1주택 비과세 요건2년이상 보유한 경우 비과세가 가능합니다. 다만,2017년8월3일 이후 '취득당시' 조정대상지역인 주택을 취득하는 경우에는 2년이상 거주해야 합니다. 예외적으로 조정대상지역으로 지정되기이전 또는 2017년8월2일 이전에 계약을 체결한 경우 '계약당시 무주택세대' 라면 거주요건이 없습니다. 2017년6월10일 A주택 매수계약체결 ▶2017년8월3일 A지역 조정지역지정 ▶2018년1월30일 매수잔금 ▶2022년11월20일 A주택 양도 (매매) ▶ 매수계..
2025.01.07 -
10억미만은 상속세 안내도 된다? 상속세 공제(면제),기한,세율,납부
상속재산에 대한 분할합의를 마쳤다면 상속세 신고를 해야 합니다. 상속세는 상속인 각자가 받은 재산가액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아닙니다. 피상속인이 남김재산총액에 사전증여재산가액을 합산하고 채무, 장례비등을 공제, 배우자공제, 일괄공제, 긍융상속공제 등 상속공제액을 제외한 잔액이 과세표준이 되고 세율을 계산하여 상속세가 정해집니다. 상속인 모두가 연대납세의무자가 됩니다. 신고납부기한구분법정신고기한피상속인이 거주자인 경우상속개시일이 속하는 달의 말일부터 6월이내피상속인이나 상속인 전원이 비거주자인 경우상속개시일이 속하는 달의 말일부터 9월 이내▶피상속인이 거주자인경우 2025년 1월 사망하였다면 7월 31일까지 피상속인 주소지 관할 세무서에 상속인 중 1명이 상속세 신고를 해야합니다. 신고 후 9개월 이내..
2025.01.03 -
누가 상속인이 될까? 법적상속인 순위 : 공동상속인,유언,유류분
피상속인 = 사망한 사람 = 재산을 상속하는 사람상속인 = 혈족인 법정상속인,사망자의 배우자,납세의무가 있는 상속포기자,특별연고자 = 상속받는 사람 직계존속 = 자신의 윗세대에 해당하는 직계 가족 = 자신의 부모, 조부모, 증조부모 등직계비속 = 자신의 아래세대로 이어지는 혈족관계 = 자녀,손자,증손자상속의 순위우선순위피상속인과의 관계상속인 해당여부1순위직계비속과 배우자항상 상속인2순위직계존속과 배우자직계비속이 없는 경우 상속인3순위형제자매1,2순위가 없는 경우 상속인4순위4촌 이내의 방계혈족1,2,3순위가 없는 경우 상속인같은 순위의 상속인이 여러명인 경우에는 피상속인과 촌수가 가까운 자가 상속인이 되고,촌수가 같은 상속인이 여러명인 경우에는 공동 상속인이 됩니다. 피상속인A는 배우자,아들B,딸C ..
2025.01.02 -
직계존속 직계비속 증여세 얼마까지 안 낼까? : 공제한도,증여세율,계산방법,10년 합산,세대생략 할증
직계존속, 직계비속을 이야기할 때는 나를 기준으로 합니다. 직계존속은 자신의 윗세대에 해당하는 직계 가족을 의미하는데 자신의 부모, 조부모, 증조부모 등과 같이 위로 이어지는 혈족 관계를 말합니다.부모(아버지, 어머니) 조부모(할아버지, 할머니) 증조부모 등직계비속은 반대로 자신의 아래 세대로 이어지는 혈족관계를 말합니다.자녀손자증손자 자녀에게 얼마까지 증여세 안내고 증여할 수 있을까요?증여세는 주는사람이 내는 게 아니라 받는 사람이 냅니다! 기본적으로 수증자가 증여세를 부담하며 증여자가 증여세를 부담할 경우 증여세 + 증여세에 대한 증여세도 부담하여 증여할 수 있습니다. 증여할 재산에서 공제해 주는 공제 한도액이 있습니다. 증여재산 공제 한도는 10년간의 누계한도액입니다. 증여자 = 증여하는 사람..
2024.12.28